티스토리 뷰
이전 글에도 밝혔듯이, 전 군대 때부터 가계부를 작성하였습니다. 가계부 적는 주이유 중 하나가 개인 재무제표(재무 상태표) 작성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가계부 작성보다는 이 재무 상태표를 작성하는 것이 더 유익합니다.
'재무제표'라는 단어를 혹시 알고 계신가요? 주식을 조금이나마 하신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회사들은 매분기별로 보고서를 공시해야 하며, 그 안에 재무제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전자공시시트템-http://dart.fss.or.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재무제표 중에서 재무상태표가 있습니다. 회사에서 관리하는 것처럼 개인에게도 유사하게 적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들은 재테크 책에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재무상태표의 기본적인 개념은 '자산=부채+자본' 입니다.
개인 자산관리에서는 '자산=부채(빚)+순자산'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략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에는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들을 나타내면 됩니다. 아파트, 전세금, 예/적금, 펀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보통 자동차와 같은 사용자산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제 재무상태표에는 제외합니다. 자산이라기보다는 가전제품과 같은 사용품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2. 부채는 그냥 빚입니다. 은행대출, 신용카드 사용 대금 등이 포함됩니다.
3.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항목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작성을 하면 개인의 총재산이 얼마인지, 빚이 얼마인지, 그리고 빚이 과하지 않는지 등을 한 눈에 알 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재무 상태표의 한 예입니다.
분류(대분류/소분류)의 기준은 자신이 정하면 됩니다. 개인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한테 맞추면 됩니다.
이와 같은 개인 재무상태표를 정기적으로(매월, 분기) 작성을 하게 되면, 자신의 재무상태를 한눈에 바라 볼수 있습니다. 내 재산이 불어나고 있는지, 줄어들고 있는지, 어디에 돈이 많이 들어가 있는지 등을 알수가 있습니다. (엑셀로 그래프까지 그리면 더 보기가 좋습니다.)
오늘 자신의 재무 상태표를 작성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MONEY > 개인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행복투자 시작 (0) | 2016.06.06 |
---|---|
2008년 개인 재무상태표 (0) | 2016.05.28 |
셀프 자산관리 (0) | 2016.05.27 |
2007년 개인 재무상태표 (0) | 2016.05.26 |
개인 재무상태표 작성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