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무설계란?
네이버지식백과에 '자신의 재무 관련 상황을 파악하여 재무 관련 목표를 세우고, 이에 맞추어 구체적인 자금 준비 등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재테크와 재무설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제가 대학교 다닐 때쯤부터 재테크란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때부터 입사 초까지 재테크 관련된 책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제가 느낀 점은 재테크도 중요하지만, 자산관리/재무설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에 글에도 있지만, 재테크는 기술이지만 개인 자산관리/재무설계는 정확한 상황파악과 나아갈 방향,목표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현재 나의 상황을 알고,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약간의 기술을 알고 익히는 것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부족하지만 제가 자산관리 (및 재무설계)를 합니다.
1. 일단 돈, 숫자, 재테크 이런 것들을 제가 좋아합니다. 그냥 제가 좋아서 하는 겁니다.
(제가 해온 것들, 생각한 것들을 이렇게 글로 적습니다.)
2. 아직 믿을 만한 전문가를 만나지 못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로는 아직 한국에는 전문적인 자산관리/재무설계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잘 못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직 자산관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다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언젠가는 수요가 생기면 공급도 생길겁니다. 지금은 은행에 가면 은행상품을, 증권에 가면 증권상품을, 보험사에 가면 보험상품 위주로 합니다. 진정한 자산관리가 아니라 금융회사의 영업의 한부분입니다. (재무설계 찾아보시면 보험분야가 제일 많습니다.)
미래에 정말 믿고 맡길만한 분이 있으면, 그 때는 도움을 받을 생각입니다.
3. 제 자신의 소중한 돈이기에 제가 관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그 누군가의 조언,권유,추천으로 금융상품에 투자하거나, 보험에 가입을 하더라도 그 책임은 본인한테 있습니다. 다른 사람을 탓할 수는 없습니다.
자산관리 관련된 책들을 읽고, 인터넷을 찾아보지만 저는 전문가는 아닙니다.
평소 이쪽에 관심이 없으신 분이면, 좋은 곳을 찾아서 한 번 재무설계를 받는 것도 추천합니다.
(단, 금융상품에 큰 고민없이 가입만 안하시면 됩니다.)
'MONEY > 개인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행복투자 시작 (0) | 2016.06.06 |
---|---|
2008년 개인 재무상태표 (0) | 2016.05.28 |
2007년 개인 재무상태표 (0) | 2016.05.26 |
개인 재무상태표 작성 (0) | 2016.05.26 |
개인 자산관리 - 개인 재무제표(재무 상태표) (0) | 2016.05.25 |